항목 ID | GC00900847 |
---|---|
한자 | 李晩成 |
영어음역 | Lee Manseong |
이칭/별칭 | 사추,귀락당,행호거사,충숙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안장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사추(士秋), 호는 귀락당(歸樂堂)·행호거사(杏湖居士)이다. 좌찬성에 추증된 이할(李劼)의 증손이며, 호조참의(戶曹參議) 이유겸(李有謙)의 손자이며, 우의정 이숙(李䎘)의 둘째 아들이다. 후에 사헌부 지평(持平)에 추증된 중부(仲父) 이흡(李翕)의 후사가 되었다. 부인은 안동김씨로 영의정 김수흥(金壽興)의 딸이다.
효종 대에서 경종 대까지 당파싸움이 치열하던 시기에 송시열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에 속했던 인물이다. 1696년(숙종 22) 문과에 급제한 뒤 전적(典籍)·병조좌랑(兵曹佐郞)을 거쳐 지평겸지제교(持平兼知製敎)가 되었으며, 이 때 영의정이 아들을 부정하게 급제시킨 일을 바로잡았다.
이어 교리(校理)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었으며, 해구(海寇)가 나타나자 충청도순무사(忠淸道巡撫使)로 나아가 안흥진(安興鎭)을 승격시켜 방어사(防禦使)로 되게 하였다. 그 뒤 이조참의(吏曹參議), 대사성(大司成)을 거쳐 1706년(숙종 32) 대사헌겸승문원제조(大司憲兼承文院提調)가 되었다.
1709년(숙종 35) 대사성이 되어 최석정의 글을 비판하였다가 삭직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이조참판으로 승진하고 이어 1716년에는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경종이 즉위한 후 형조판서(刑曹判書)·이조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며, 병조판서(兵曹判書)일 때 영조가 왕세제(王世弟)가 되는데 기여한 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옥사하였다. 영조 즉위 후 복관되었다.
문집으로 『귀락당집(歸樂堂集)』이 있다.
묘소와 신도비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에 있다. 신도비는 조카인 좌참찬 이재(李縡)가 지었으며, 사헌부지평 민우수(閔遇洙)가 썼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유척기(兪拓基)가 전액(篆額)하였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며,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