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417 |
---|---|
한자 | 李益三義兵部隊 |
영어음역 | Lee Iksam Uibeong Budae |
영어의미역 | Righteous Army Unit of Lee Iksa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도형 |
조선 말기 경기도 용인·광주·양지·죽산·양성 일대에서 활동한 의병진.
경기도 용인 출신의 의병장 이익삼은 1907년 7월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고 ‘정미조약’이 체결되면서 8월에 군대가 해산되자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의병을 일으켰다.
이익삼 의병부대는 주로 유격전으로 일제와 전투를 벌였으며, 그 밖에 일진회 등 친일파를 처단하거나, 빈민을 구제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익삼 의병부대는 일제도 두려워할 정도로 상당한 세력을 떨쳤다.
그러던 1909년 6월 2일 밤 10시경 일제의 수원수비대(水原守備隊) 제3중대 여섯 명의 토벌대와 전투가 벌어졌다. 이에 이익삼 의병부대는 분투하였으나 일본군의 화력이 강하여 그들에게 피살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