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779
한자 龍仁華雲寺木造如來-阿彌陀-藥師-坐像
영어음역 Yongin Hwaunsa Mokjoyeorae (Amita, Yaksa) jwasang
영어의미역 Seated Wooden Buddha Statue in Hwaunsa Temple
이칭/별칭 화운사 목조여래좌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31-1[동백죽전대로 111-14]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임석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6월 19일연표보기 - 용인화운사목조여래(아미타,약사)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용인화운사목조여래(아미타,약사)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불상
제작시기/일시 조선 중기
재질 나무
높이 101㎝
소장처 화운사
소장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31-1[동백죽전대로 111-14]지도보기
소유자 화운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화운사에 있는 조선 중기 아미타여래좌상과 약사여래좌상.

[개설]

용인시 처인구와 기흥구 경계에 위치한 화운사에는 대웅전(大雄殿)과 선원(禪院)에 각각 목불 좌상 1구씩이 본존불(本尊佛)로 봉안되어 있다. 이 두 불상은 화운사 중창주가 1960년대에 금산사에서 옮겨온 것이라 증언하고 있다.

[형태]

목조아미타여래 좌상의 아랫부분에 ‘서방불(西方佛)’이라고 쓰여 있는 먹글씨로 보아 이 불상이 아미타불임을 알 수 있다. 무릎 너비가 다소 짧지만 체구는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는 구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당당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상에는 정상계주(頂上髻珠)가 나무로 표현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나타나 있는데, 모두 도금을 하여 나발(螺髮)과 뚜렷이 구별되고 있다.

나발은 촘촘하게 새겨져 머리 윤곽이 둥근 복발(覆鉢)형을 이루고 있다. 얼굴은 둥글면서도 팽만감이 있는데, 이마는 넓고 폭이 좁은 편이고, 코가 눈썹 사이에서 갑자기 돌출하여 17세기 중엽을 전후로 한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눈썹선이 돌출하였지만 눈은 반쯤 뜨고 있고, 입은 뚜렷한 인중과 짝을 이루고 있다. 귀는 유난히 길고 큼직하여 얼굴을 보다 커 보이게 한다.

목은 굵고 짧으며 삼도가 뚜렷하다. 이 불상은 통견(通肩)의 대의(大衣)를 입고 있는데 양 어깨로 내려진 대의 자락 가운데 오른쪽 자락이 U자를 이루면서 오른쪽 손목에 걸쳐져 있다. 내의인 승각기는 상단이 평행으로 되어 있고, 매듭이 없는 띠, 무늬 없는 깃 등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목조약사여래 좌상은 밑바닥 복장문 옆에 ‘동방불(東方佛)’이라 쓰여 있는 먹글씨가 있어 이 불상이 약사불임을 알 수 있다. 머리는 아미타불처럼 복발형인데, 정상에 정상계주가 뾰족하게 솟아 있고, 중앙에는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표현되어 있으며, 머리칼은 나발이 촘촘하게 나타나 있다.

얼굴은 둥근 편인데 양감은 아미타불보다 약하여 턱이 약간 수척해 보인다. 코가 돌출하고 눈썹선이 강해 머리 모양과 함께 아미타불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상체는 아미타불과 유사하지만 약간 긴 모양이다. 또한 수인 역시 동일하지만, 왼손을 올리고 오른손을 내린 정반대의 모습이다.

결가부좌한 다리는 유사하나 신체에 비해서 약간 넓은 형태이고, 무릎 표현도 아미타불과 비슷한 편이다. 착의법이나 옷주름 선 또한 서로 유사하지만 손이 좌우로 바뀐 모양이어서 여기에 알맞은 의문선이 표현되어 있다. 총고 101㎝, 불상고 98㎝, 두고 36㎝, 안고 21㎝, 안폭 20㎝, 어깨 폭 50㎝, 무릎고 10㎝, 무릎 폭 67㎝이다.

[의의와 평가]

화운사의 약사불과 아미타불은 동일한 도상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같은 조각장에 의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여겨진다. 특히 두 불상 모두 조선 전기 양식에서 진전된 조선 중기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복장 조성기」에서 언급된 1628년 작으로 편년할 수 있겠다. 2006년 6월 1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1.06 [개설] 수정 1) 용인시와 수원시 경계에 위치한 화운사에는 ->용인시 처인구와 기흥구 경계에 위치한 화운사에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