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마평동 돌무지무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419
한자 麻坪洞-
영어음역 Mapyeong-dong Dolmuji Mudeom
영어의미역 Stone Chamber Tomb in Mapyeong-dong
이칭/별칭 용인 마평동 돌무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 574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김성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돌무지
소재지 주소 경기도 용인시 마평동 574 지도보기

[정의]

경기도 용인시 마평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돌무지무덤.

[개설]

토지박물관은 마평동 돌무지무덤이 북한강·임진강 유역에서 조사된 적석총과 유사하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그 근거로는 장축 방향이 서쪽 가까이에 흐르는 경안천의 방향과 동일한 점, 돌무지무덤의 평면 형태가 길쭉한 점, 돌무지무덤 아래의 기반토가 주변보다 높은 점 등이다.

이런 지적과 함께 돌무지무덤이 군집을 이루는 점, 그 크기가 30m 정도로 백제 적석총과 비슷한 점, 주민들이 흑색·회색 토기가 발견되었다고 전언하는 점, 서남·서북 모서리가 각을 이루고 층단을 이루는 점 등도 이것이 단순한 돌무지무덤이 아니라 적석총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한편, 축조 재료가 강돌이 아니라 활석인 점, 모래언덕이 아닌 평지에 축조된 점, 층단을 이루고 있는 점 등으로 미루어, 임진강 유역의 연천 학곡리 적석총·연천 삼곶리 적석총과 같은 무기단식 적석총이 아니라, 서울 석촌동 고분군과 같은 계단식 혹은 방단식 적석총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런 판단이 맞을 경우 그 축조 시기는 원삼국기가 아닌 한성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치]

경기도 용인시와 이천시를 잇는 국도 42호선을 따라가면 용인교를 지나게 되는데, 이 용인교를 지나자마자 용인송담대학으로 통하는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약 650m 정도 가면 황제빌라가 나오고, 이 황제빌라 서편의 민가와 접한 곳에 돌무지무덤이 있다.

[형태]

마평동 돌무지무덤경안천의 동쪽 충적대지에 위치한다. 돌무지무덤의 원상은 제대로 알 수 없으나 남아 있는 돌무지무덤의 규모는 길이 32m, 폭 18m, 높이 2~3m 정도이며 장축 방향은 경안천의 흐름 방향과 일치하는 남북 방향이다. 평면 형태는 후대의 교란이 심하여 파악하기 어려우나 장방형 혹은 타원형이다. 돌무지무덤의 축조 재료는 길이 20㎝ 안팎의 자연할석이 대부분이나 군데군데 30㎝를 넘는 큰 돌도 있다.

1988년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사에서는 돌무지무덤 서남쪽 적석부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모서리가 거의 직각으로 돌아가며, 위에는 단이 형성되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2003년 토지박물관의 조사에서는 서북 모서리 부분에 한 변의 길이가 1m를 넘는 자연석들이 군을 이루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황]

돌무지무덤의 동쪽·남쪽·서쪽이 민가에 접해 있고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담장이 둘러처져 있어 돌무지무덤의 가장자리가 많이 훼손·멸실된 상태이다. 특히 돌무지무덤의 서쪽 일부를 걷어내고 밭으로 이용하는 형편이다. 잡목이 우거져 있는 돌무지무덤 상부와 측면에도 장독대와 담장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현재 남아 있는 마평동 돌무지무덤에서 약 50m 떨어진 지점에도 이와 유사한 돌무지무덤이 있었는데, 1988년 조사 당시는 파괴되고 없어졌다고 한다. 마평동 돌무지무덤이 있는 충적대지 일대를 돌무더기들 혹은 석담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지명으로 보아 이 일대에 돌무지무덤이 군집했을 가능성도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지** 麻坪洞- → 麻坪洞積石塚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 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