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용동 생룡마을 금성범씨 세거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19
한자 生龍洞生龍-錦城范氏世居地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79가구[2003년 기준]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 있는 금성 범씨 세거지.

[개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이외의 고장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중국 귀화성씨가 금성범씨(錦城范氏)이다. 금성범씨가 본디 나주목에 속하였던 복룡현[현재 광산구 평동, 삼도동 일대]에 정착한 것은, 원나라 때 고려에 시집온 원나라 공주를 배웅하여 고려에 왔다가 정착했을 때부터라고 한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는 중국 주나라 때 습숙이라는 사람이 범 땅의 시급을 받아 성을 받았다고 설명하는 나주범씨, 광주범씨, 안주범씨의 삼본관 범씨만 나열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은 나주목 속현인 복룡현의 토성으로 조씨 등 5성 외에 속성 또는 내성이라 하여 범씨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성씨 중에 뜰 '범(汎)' 자는 없고, 송나라 이전 범여, 범수, 범증 등 성 '범(范)' 자를 쓴 인물이 많다. 후한서를 쓴 사람도 범엽(范曄)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은 잘못이 있는 것 같다. 『고려사』에도 성 범 자 원나라 사람 이름은 여럿 나온다. 고려 이전 복룡현은 본디 광주목의 속현이었으나, 고려 개국 후 현종대 나주목 속현으로 바뀌었다가 1949년에야 광주에 편입된 땅이다. 나주의 복룡현은 한때 용산현이라고도 불렀는데, 오늘날 금성범씨들이 사는 동네 이름이 용산, 생룡, 복룡 등으로 불리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특히 생룡이라는 동네 이름은 1957년에야 지어진 이름이고, 그 전에는 복룡으로 불렀다.

『호구총수』에 보면 광주 임하보면에 복룡촌이 있고, 1821년 범세동(范世東)을 모신 사우의 이름도 복룡사이다. 범씨의 시조로 고려에 귀화한 선조는 범승조(范承祖)로 원나라 예의시랑으로 충렬왕[1274~1308]에게 시집온 원나라 세조의 딸 제국대장공주를 배웅하여 왔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1274년이다. 범승조의 아들 범유수가 충숙왕 때 여진족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워 금성군의 봉작을 받아 본관이 금성이 되었다고 한다. 시랑골은 귀화한 시조 범승조가 받은 복룡현 땅이라고 하지만, 오늘날 범세동과 범승조가 묻혀 있는 묘지는 복룡현이 아닌 여황현 땅 광산구 덕림동에 있다. 금성은 고려 이전 나주 고을의 이름으로 때때로 나주목의 별호를 금성이라 하였으므로, 본디 기록을 따르자면 복룡범씨가 될 것이나 복룡현이 속하였던 큰고을 이름을 따서 금성 본관이나 나주 본관을 쓸 수도 있었을 것이다.

[입향 경위]

나주 땅을 떠나 광주 땅 임하보면으로 옮긴 사람은 11세조 범천배(范天培)라고 한다. 범천배의 호가 용계인 것을 보면 지금의 생용동네 뒷산 대풀봉[죽취봉, 244m]에서 생룡으로 흐르는 계곡을 용계라 불렀던 것에서 호를 딴 것 같다. 구전으로는 처음 자리한 곳이 용전 들녘 '개토 배미'라는 곳으로 용전[용밭]의 개토를 용계로 미화하였을 수도 있다. 고려 불복신 집안을 자처하는 금성범씨들은 조선조에 문과 급제자를 내지 않았다. 이 집안 딸이 1849년, 1863년 철종의 숙비로 들어가 유일한 철종 혈육인 영혜옹주를 낳아 부마 집안의 성씨가 되었고, 영혜옹주는 한말 개화 세력가 박영효(朴泳孝)를 사위로 맞았다.

이 무렵인 1822년 범씨들은 복룡동네에 복룡사를 지어 범세동 등을 모셨으나, 고종 때 훼철당하여 1916년 용호재라는 이름의 제각을 지어 모시고, 용호재복룡사유허비를 세웠다. 이 집안 4세조 범세동은 간이대부를 지내고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 되어 『화동인물총기』, 『화해사전』 등을 썼다고 크게 모신다.

[현황]

1930년 인구조사 후 나온 『조선의 취락』에는 나주범씨 세거지로 나오며, 생용동네 63집 가운데 59집이 범씨라고 하였다. 2000년 인구조사 결과 나주 본관 범씨가 3,317명, 금성범씨가 2,991명이었다. 근래 서울, 경기 지방으로 많이 떠났지만, 2015년 통계를 보면 아직도 금성범씨 1,223명이 광주광역시에 살고 있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이 조사한 『광주의 동족마을』[2003]에 생용동의 85집 가운데 79집이 금성범씨라고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