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236
한자 三山精舍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산18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63년연표보기 - 삼산정사 건립
현 소재지 삼산정사 -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산189 지도보기
성격 정자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전주이씨 문중
관리자 전주이씨 문중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에 있는 1963년에 건립된 정자.

[개설]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 내에 있는 삼산정사(三山精舍)는 1963년 건립되었으며, 세운 사람은 미상이다.

[위치]

삼산정사종방마을 안쪽에 있다. 종방마을국립5.18민주묘지로 가는 길에 있으며, 전통적인 씨족 마을로 행주기씨(幸州奇氏)와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집성촌이었다.

[변천]

벽돌과 돌담이 혼재되어 있고 일부 구간이 생울타리인 탱자나무로 이루어져 있어 건립된 후 짧은 시간이지만 변화가 있었다.

[형태]

건물 전체가 콘크리트 기단 위에 원형 주초석과 4개의 디딤돌이 툇마루 아래에 놓여져 있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내실과 툇마루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작지붕에 평기와를 얹었다.

[현황]

정자 내부에는 삼산정사 상량문, 삼산정사기(三山精舍記) 원운(原韻) 차운(次韻) 등 11개의 재액(題額)이 걸려 있고, 주변의 8경을 나타내는 주련(柱聯)이 걸려 있다. 정면 현판 옆으로는 '우산유장(牛山遺庄)'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어 인근의 우산정사(牛山精舍)와 관련 있는 건축물임을 짐작할 수 있다. 우산정사행주기씨 기정륜(奇梃崙)이 제자를 기르던 강학소(講學所)이다.

[의의와 평가]

전주이씨 제실(祭室)로 쓰이고 있어 일정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상의 음덕을 기리는 공간으로 전통을 이어 간다는 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6.28 용어변경 [현황] 강학지소→강학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