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906
한자 伽倻琴竝唱
영어공식명칭 Gayageum Byeongchang
이칭/별칭 석화제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3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형성 시기/일시 19세기[순조 연간] - 가야금병창 형성
채록 시기/일시 2004년 - 가야금병창 『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수록
문화재 지정 일시 1968년 12월 23일연표보기 - 가야금산조 및 병창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3월 3일연표보기 - 가야금병창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 - 가야금병창 이영애 명창 KBS 민속백일장에 광주·전남 대표로 출전 대상 수상
성격 국악|병창
박자 구조 진양조|중모리|엇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가창자/시연자 문명자|이영애|황승옥|오태석|박귀희|안숙선 등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지정|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 지정

[정의]

광주광역시 일원에서 가야금을 연주하며 소리를 하는 전통음악[국악]의 연주 형태.

[개설]

가야금병창은 판소리를 근간으로 파생된 연희 양식으로, 한 명의 연희자가 소리와 연주를 병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야금병창의 반주 악기로는 장구가 사용되며, 판소리에서는 ‘석화제’라고도 한다. 1968년 12월 2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되었고, 2005년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2004년 광주광역시에서 발간한 『문화재 지정 조사 보고서』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가야금병창의 곡으로는 「새타령」·「남원산성」 등의 민요와 함께, 「호남가」·「죽장망혜」·「녹음방초」·「공명가」 등의 단가, 판소리 중에서 「춘향가」의 사랑가, 「흥보가」의 제비노정기, 「수궁가」의 고고천변, 「심청가」의 심 봉사 황성 가는 대목, 「적벽가」의 자룡 활 쏘는 대목 등이 주로 불린다. 반주는 자진가락이 가능한 장구 반주를 치고, 주로 쓰이는 장단은 판소리의 기본 장단에 근거한 진양조·중모리·엇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이며, 북장단을 곁들이기도 한다.

[내용]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가야금병창은 조선 후기[순조] 명창인 신만엽(申萬葉)[1827~1848]과 김제철(金齊哲)[1800~1834]이 창안하였다고 한다. 민요나 단가, 판소리의 한 대목을 가야금의 선율에 맞도록 기악화시켜 판소리의 '석화제', 곧 가야금병창제를 창안하였다. 이후 김창조(金昌祖)[1865~1919]·오수암(吳守岩)[1908~1945] 등 초기의 가야금산조 명인들에 의해 다듬어지고, 심상건(沈相健)·강태홍(姜太弘)·오태석(吳太石)·정남희(丁南希) 등 가야금 명인들에 의해 크게 발전하였다.

[현황]

가야금병창은 문명자, 이영애, 황승옥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다. 문명자는 2005년 지정 당시에 예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오태석·박귀희·안숙선으로 이어지는 가야금병창을 이어받아 보존과 전승에 힘쓰고 있다. 이영애와 황승옥은 2014년 예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이영애는 스승 박귀희로부터 가야금병창과 판소리를 익혔다. 1977년 KBS 민속백일장에 광주·전남 대표로 출전, 가야금산조로 대상을 수상하였다. 황승옥은 가야금병창의 이론과 실기의 내용을 담은 『가야금병창 전집』을 출간한 바 있다.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예능전수실에는 문명자, 이영애, 황승옥 보유자가 입주하여 전통음악의 계승 발전과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가야금병창은 판소리와 기악 연주의 중간 지점에서 출발하여 독특한 영역을 구축해 온 음악이다. 가야금병창의 연행자는 연주자인 동시에 창자이기 때문에 각각의 장르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특징을 넘나들 수 있다. 가야금의 기악적 특성이 소리에 반영되어 소리의 선율이 변화되기도 하고, 소리의 성악적 특성이 가야금 선율의 특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참고문헌]
  • 『문화재 지정 조사 보고서』(광주광역시, 2004)
  • 김혜정·이명진, 『가야금병창』(민속원, 2010)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
  • 광주문화재단(http://www.gjcf.or.kr/cf/index.do)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02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