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432
한자 棲霞路
영어공식명칭 Seoha-r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문흥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현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서하로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문흥동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서하로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오치2동~ 문흥동지도보기
성격 도로
길이 4,558m
차선 4~6차선[왕복]
20~30m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문흥동을 연결하는 도로.

[개설]

서하로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있는 국립광주박물관 오거리를 기점으로 오치2동에 있는 북부경찰서를 경유하여 문흥동동문대로 연결 지점을 종점으로 하는 4~6차선의 도로이다.

[명칭 유래]

서하로는 광주 출신 문인 서하 김성원(金成遠)[1525~1597]의 호를 따서 붙여진 도로명이다. 김성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33세에 사마시에 입격하고, 1581년(선조 14) 제원도찰방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동복가관과 동복현감을 동시에 역임하였다. 군량미와 의병을 모집하여 공을 세운 인물로 성리학과 주역을 깊이 연구하였으나 시인으로 더 유명하다. 「식영정잡영(息影亭雜詠)」, 「척서도」등을 유행하게 하였으며, 저서로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를 집필하였다. 이외에도 많은 이들의 귀감이 되는 행적으로 김성원은 임억령, 고경명, 정철과 함께 성산의 사선(四仙)으로 불렸다.

[제원]

서하로는 총연장 4,558m, 폭 20~30m의 4차선[3,296m], 6차선[1,262m]으로 개설된 도로로, 총 4,558m의 도로는 폭 12~15m의 중로 1,698m와 폭 25~35m의 대로 2,860m로 구성되어 있다.

[건립 경위]

서하로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서 오치2동, 오치1동, 문흥1동, 문흥2동을 동쪽 방향으로 관통하여 문흥동우산동, 두암동의 분기하는 동문대로를 잇는 주도로로 개설되었다.

[현황]

서하로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서 오치2동, 오치1동, 문흥1동, 문흥2동을 경유하여 문흥동우산동, 두암동을 연결한다. 도로 위의 주요 건물 및 시설로는 국립광주박물관, 전남교육연구원, 용봉쌍용예가아파트, 광주매곡동우체국, 하백초등학교, 북부경찰서, 열린교회, 삼성아파트, 삼익아파트, 용봉주공아파트, 광주현대병원, 오치주공2단지아파트, 무등파크맨션아파트, 오치양지아파트, 광주오치동우체국, 용봉중학교, 광주북부소방서, 문흥중학교, 광명아파트, 제일아파트, 문흥상록아파트, 중흥파크맨션1차아파트, 문흥트리뷰아파트 등이 있다.

특히 국립광주박물관 오거리에서 서하로를 따라 조금 지나면, 비엔날레관 입구 교차로 인근에 김용학가옥이라는 표지판이 보이는데, 여기서 하백로 길을 따라 400여m를 진입하면,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김용학가옥'을 볼 수 있다. 1900년대 초 한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정자가 언덕을 형성한 대지 위에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과거 전통가옥의 형식미를 엿볼 수 있는 광주의 볼거리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을 한다.

[참고문헌]
  • 「길 위에서 역사를 만나다(9)-서하로」(『시민의 소리(http://www.siminsori.com)』, 2016. 7. 11.)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 네이버 지도(http://map.naver.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