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012
한자 三政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Samjung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삼정초,삼정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밤실로 208번길 55[두암동 96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93년 5월 6일연표보기 - 삼정국민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 - 삼정국민학교에서 삼정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7월 1일 - 삼정초등학교 광주광역시 교육복지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3년 3월 1일 - 삼정초등학교 광주광역시 기초학력향상 연구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3월 1일 - 삼정초등학교 광주광역시 정신건강증진 연구학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10월 7일 - 삼정초등학교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회계 재정운영평가 우수학교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0년 10월 16일 - 삼정초등학교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회계 재정운용평가 우수학교 선정
최초 설립지 삼정국민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밤실로 208번길 55[두암동 967-2]
현 소재지 삼정초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밤실로 208번길 55[두암동 967-2]지도보기
성격 공립초등학교
설립자 광주광역시
전화 062-250-5804
홈페이지 http://k-samjung.gen.es.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남을 배려하는 아름다운 심성의 어린이, 스스로 찾아서 학습하는 어린이, 새로움을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소질을 키워가는 자랑스러운 어린이, 건강한 몸으로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변천]

삼정초등학교는 1993년 5월 6일에 삼정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 삼정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2007년 7월 1일에 광주광역시 교육복지학교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1일에 광주광역시 기초학력향상 연구학교로, 2014년 3월 1일에 광주광역시 정신건강증진 연구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10월과 2020년 10월에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회계 재정운영평가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2021년 1월 15일에 제28회 졸업식을 통해 12명이 졸업하여 총 2,79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삼정초등학교는 존중과 배려가 넘치는 '인간 교육'을 실현하고, 스스로 익히고 함께 찾는 배움 중심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꿈과 적성을 키워가는 진로교육을 추진하고 차별 없는 보편적 교육복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소통과 참여로 신뢰받는 청렴 행정을 구현하고 있다. 특색 교육으로 심미적 감성을 키우는 학교 문화 및 예술교육 활성화에 힘쓰고 있으며, 희망을 꿈꾸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류성진/작곡 김은석]는 다음과 같다.

1절: 삼정산 기슭에 빛나는 새 아침/ 온 누리 향하여 큰길을 열고/ 바르고 슬기로운 겨레의 꽃송이/ 곱게 곱게 피어라 삼정 어린이

2절: 무등산 한줄기 푸른 언덕에/ 맑은 샘 용솟는 슬기 다듬어/ 몸과 마음 갈고 닦아 희망찬 일꾼들/ 자유 대한 이어갈 삼정 어린이

2. 교화: 개나리이며, 명학, 영광, 긍지감을 심어주는 꽃이다.

3. 교목: 향나무이며, 높은 하늘과 땅의 기상이 만나 우리의 꿈에 이루게 하도록 자신의 특기와 재능을 기르라는 의미이다.

4. 교색: 녹색이며, 항상 적극적이며, 안정, 질서와 봉사를 솔선하여 실행하며 정직하고 푸른 꿈을 기르는 색깔이다.

[현황]

2021년 기준, 총 64명[남 36명, 여 2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총 15명[남 7명, 여 8명]이 근무하고 있다. 교사 대지 면적은 5,881㎡, 체육장 면적은 6,415㎡, 교지 총면적은 12,296㎡이다. 학교 시설로는 일반교실, 교과교실, 특별교실, 수준별교실, 시청각실, 컴퓨터실, 멀티미디어실 등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삼정초등학교(http://k-samjung.gen.e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