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527
한자 西方市場
영어공식명칭 Seobang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풍동길 10번길 12[풍향동 606-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성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서방시장 개설
최초 설립지 서방시장 - 전라남도 광주시 북구 풍향동
현 소재지 서방시장 - 광주광역시 북구 풍동길 10번길 12[풍향동 606-7]지도보기
성격 판매 시설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에 있었던 상설 미곡 시장.

[개설]

1968년 시장을 등록하면서 개설되었다.

[건립 경위]

광주와 담양을 잇는 도로변에 자리를 잡고 있어 전남 북부지역 농산물과 임산물이 많이 거래되면서 형성되었다.

[변천]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기 이전까지 광산군 서방면에 속해 있어서, '서방'이라는 지역명을 유래로 서방시장으로 불리었다. 광주 시내에서 유일하게 미곡을 전문으로 하는 장으로서, 미곡이 정부의 양곡 허가제도 하에 있던 1970년대 초반[1973년]까지 호황기를 누리며 얼마 동안 명맥을 유지했으나, 주변 지역이 주택단지로 바뀌게 되고 쌀의 자급으로 서방시장은 일반 생필품을 주로 판매하는 소매시장으로 점차 전환되었다.

[구성]

광주 최초의 '싸전' 서방시장이 문을 연 것은 1966년이다. 1967년과1968년 전라남도 지역을 강타한 가뭄으로 쌀값이 폭등하자, 전라남도 인근의 농민들이 쌀을 팔아 생필품이나 잡곡으로 바꾸면서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이곳은 주변이 모두 논밭이어서 판자촌처럼 목재를 지어 천막을 씌운 형태로 미곡상, 중개업소 등의 점포들이 들어서면서 제법 큰 장(場)이 되었다.

1968년 개설 당시에는 70여 곳의 점포 중 40여 곳이 곡물상[30여 곳은 미곡상, 10여 곳은 중개상]을 이루었다. 1968년에는 2·4·7·9일에만 장이 서는 형태였고, 정식 가게로 입주해 있던 미곡상 몇 곳만 매일 장을 열었다.

[현황]

1970년대 말 호황기였던 서방시장동신고등학교 언덕 아래 자리잡은 말바우시장이 커지고 인근에 대형마트가 입점하면서 쇠락하게 되었다. 현재 풍향1구역 서방시장 인근 16만 4625㎡[지하 2층, 지상 30층]을 대상으로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