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가경동 홍골마을 뒤쪽으로 해발 75m내외의 낮은 능선이 북-남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여러 줄기의 짧은 가지능선이 뻗어 있다. 능선의 사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그리고 능선 끝부분은 평탄하여 논·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물은 능선 사면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서 구석기시대 만들어진 마줏날 긁개가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물산포지. 충북대학교 농과대학과 여학생 기숙사 사이의 얕은 구릉지에서 마줏날 긁개가 채집되어 구석기유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흥덕구 개신동 충북대학교 농과대학과 여학생 기숙사 사이의 얕은 구릉지에 위치한다.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마줏날 긁개의 돌감은 석영(...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충북대학교 약학대학과 북말마을 사이에는 과수원과 밭이 있는데, 유물이 채집된 것은 약학대학 앞(남쪽)의 밭일대이다. 여기에서 석영을 돌감으로 하여 잘 손질한 사냥돌 등의 석기유물이 채집되었다. 흥덕구 개신동 죽말 충북대학교 약학대학과 북말마을 사이에 위치한다....
-
커다란 돌을 가지고 만든 선사시대의 구조물. 고인돌은 작은 돌이 큰 돌을 받치고 있다는 뜻으로 ‘괸돌’, ‘지석묘’, ‘탱석’이라고도 하며, 마을 이름에도 ‘괸마을’, ‘괸돌마을’, ‘지석리’ 등이 있다. 커다란 덮개돌이 밖으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왔다. 대부분 무덤으로 쓰이지만 공동무덤을 나타내는 묘표석이나 의식을 거행하던 제단으로서도 기능이 있...
-
약 300만년 전부터 1만년 전까지의 시기로 인류의 발달과정을 도구제작 기술의 발달로 구분할 때 가장 이른 시기. 구석기시대는 지질학적인 연구와 이 시기에 살았던 동·식물상의 연구를 배경으로, 각 시기마다 사용된 도구 즉, 석기를 중심으로 하여 전기·중기·후기 구석기시대로 나뉘어진다. 전기 구석기시대는 인류가 처음 연모를 사용한 때부터 약 12만 년 전의 마지막 간빙기가 시작되는...
-
바닥은 둥글고 입술은 곧거나 바라진 모습의 단지형 토기. 바닥이 둥글면서 구형이거나 편구형의 모습이며 몸통의 최대 지름이 토기의 높이나 입지름보다 크다. 무늬는 입술에서 몸통의 최대 지름이 있는 곳까지 전반적으로 베풀어져 있다. 무늬 새기개는 끝의 폭이 넓고 미세한 凹凸이 있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베푼 방법은 비스듬히 연속적으로 압인하여 마름모 무늬를 새겼다. 이 토기는 처음 금강...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이 산포되어 있는 유적지.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민무늬토기조각·돌 그물추·석영암제 뗀석기와 삼국 ~ 고려시대 토기조각, 소형탑 모양의 토제품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또 현재 지표상에 특별한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납작한 자연석을 이용한 그물추와 소형석봉, 석영암제 뗀석기가 채집되어 신석기나 구석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돌도끼·삼국시대 토기조각·고려시대의 토기와 기와조각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특히, 찾아진 유물 중 홈자귀는 홈이 있는 도끼의 형태로 주로 나무를 손질할 때 쓰이는 도구로 날부분는 갈아서 매끈한 상태이며, 홈부분도 비교적 잘 마연하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안덕벌에 있는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곳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이곳에서 뗀석기를 찾았는데, 그 가운데 반암을 돌감으로 때릴면을 조정하여 떼어낸 격지가 주목된다. 이 지역은 상당히 오랫동안의 경작과정으로 본래의 유물 포함층을 찾지는 못하였으나, 깍여진 단면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되는 홍적토가 확인되어 석기와 함께 유적의 가능성을 갖게하고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에 위치한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 곳 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위치한 선돌(立石). 고인돌과 함께 큰돌 문화(巨石文化, Megalithic culture)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선돌은 선사시대부터 축조된 것이 발굴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모든 선돌이 선사시대부터 새워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조사에 따르면 금강권에 있는 선돌은 다른 어느 곳 보다 많이 있다. 금강권의 선돌은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많은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질구지마을 뒤쪽편에 해당되는 이 구릉상에 풍화암반층을 파서 만든 파괴된 무덤이 조사되었다. 주변에 점판암 판석이 흩어져 있었고 1m쯤의 깊이로 판 구덩이 주위에서 간돌칼 1점·화살촉 8점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은 현재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수습유물의 성격·지형 조건 등으로 보아 이 일대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의 신석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의 유물과 유구가 있는 유적지. 이 유적은 1995년 청주 상당산성 서장대 터를 발굴할 때에 청주 상당산성의 남문인 공남문 밖의 지역을 시굴조사 하였는데, 여기에서 여러 시대에 걸친 유물·유구가 조사되었다. 비록 시굴조사이기는 하나 이곳에서 유구로는 주거지와 원형의 화덕자리가, 유물로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가락...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소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 경부고속도로 확장공사의 일환으로 건설되는 청주IC 확장건설계획으로 긴급 구제발굴 된 석소동유적은 충북대학교 박물관팀이 1992년 1월부터 40일간 발굴하였다. 석소동유적은 층위가 상당부분 깎이어 나가고 심하게 교란되어 선사시대의 유구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뗀석기와 간석기를 수습하였다. 그 가운데 구석기시...
-
약 기원전 1만년 전부터 1천년까지의 시기로 석기시대의 마지막단계. 신석기시대에는 식량을 채집하고 뗀석기[打製石器]를 사용하던 구석기 단계에서 더 나아가 간석기[磨製石器]의 사용으로 농경·수렵·벌채용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자연의 의존에서 벗어나 자연을 이용 개발할 수 있는 단계로까지 발전하였다. 이는 정착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문명형성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또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신성동의 상신성마을 동쪽에 동-서로 뻗어 있는 능선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 서쪽으로는 석남천이 흐르고 있고, 북서쪽으로는 미호천(美湖川) 유역의 충적평야인 신대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현재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능선의 정상부 일대에서 민무늬 토기편·돌도끼·토기편...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상당구 오동동의 청주~진천을 잇는 17번국도와 미호천(美湖川) 충적지인 팔결들 사이에는 남동-북서로 뻗은 능선이 있으며, 이 능선의 북동향하는 경사면에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능선 좌우에는 큰한대골과 작은 한대골의 좁은 골짜기를 이용한 논이 형성되어 있고, 맞은편 능선에 오동동동사무소가 있다. 유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유물산포지에서 돌낫·숫돌·민무늬토기조각 등을 수습하였다. 흥덕구 운동동 운동초등학교와 부영아파트 사이에는 동-서로 정상부와 남사면에 짧게 남아 있는 능선이 있다. 유적은 운동초등학교 바로 뒤편의 능선 정상에 위치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 흥덕구 원평동 벌독정이와 큰독정이마을 중간쯤에 남동-북서방향으로 뻗은 능선이 있으며, 남서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능선 사면부분은 개간하여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 밭 일대가 유물산포지이다. 이 유물산포지에서는 그릇모양을 알 수 없는 적은 양의 민무늬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다. 민무늬토기는...
-
청주문화란 청주와 청원 지역에서 축적되고 존재하는 문화이다. 청주문화는 다른 문화와 비교상대적인 문화 개념이다. 청주문화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문화의 독자적인 완결성을 공간적으로 강조할 때 이런 문화단위 개념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역의 독자적 문화문법(文化文法)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오랜 시간의 마모를 견디면서 내재하는 문화...
-
일반적으로 청동을 이용하여 연모를 만들어 사용하면서 살림을 꾸리던 시기. 한국의 청동기시대는 대체적으로 청동 단추, 청동 손칼 등 주조가 비교적 간단한 청동 유물을 만든 시기와 동검(銅劍)과 같은 청동 무기, 공구 등을 제작하던 시기로 구분한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맨처음 구리에 다른 광물을 섞지 않은 순동을 두드려서 치레걸이를 만들다가 차츰 아연이나 주석, 납 등을 합금...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친 유물이 넓게 산포되어 있는 유적. 이 유적은 1990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한 지표조사에서 청동기시대~고려시대에 걸쳐 유물이 넓게 산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1995년 10월 22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가경동 363-9번지 일대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흥덕구 가경3지구 택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에 있는 고인돌. 강서동의 우림아파트와 삼덕아파트 부근으로 얕은 구릉지대의 끝부분에 위치한다. 이 고인돌유적은 부근에 있는 비하동의 돌덧널무덤과 함께 청주지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유적이다. 청주지역의 문화유적에 대한 최근의 종합적인 조사는 1998년에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던 유적...
-
청동기시대와 조선시대의 움집터가 조사된 유적. 대전광역시 신대동~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을 잇는 중부고속도로 건설공사구간(연장 145.3㎞)에 대한 문화유적 지표조사(1985, 1986)에서 처음 찾아졌고, 1986년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청동기시대 움집터[竪穴住居址] 1기, 조선시대 움집터 6기·돌덧널무덤[石槨墓] 1기·배수구(排水口) 1기 등 모두 9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