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27
한자 孫秉錫
영어공식명칭 Son Byeongseok
이칭/별칭 손대관(孫大寬)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 5월 6일연표보기 - 손병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6년 6월 - 손병석 6·10 만세 운동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26년 6월 30일 - 손병석 기소유예 선고
수학 시기/일시 1927년 - 손병석 협성실업학교 중등과 3년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7년 - 손병석 연희전문학교 상과 입학
몰년 시기/일시 1932년 5월 26일연표보기 - 손병석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9년연표보기 - 손병석 대통령 표창 수훈
출생지 비정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비정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협성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 282
학교|수학지 연희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신촌동 134]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7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6·10 만세 운동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손병석(孫秉錫)[1904~1932]은 1904년 5월 6일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비정리에서 태어났으며, 손대관(孫大寬)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1926년 6월 10일 순종의 인산일을 기하여 조선학생과학연구회와 중앙고등보통학교, 중동학교의 일부 학생 등이 인산 행렬에 격문을 살포하며 “대한 독립 만세”를 소리 높이 외쳤다. 당시 현장에서 시위 운동을 보고 고무된 손병석은 대규모의 독립 만세 운동을 추진하기로 하고 배재고등보통학교[현 배재고등학교], 협성실업학교 등 기독교 계통의 학교를 중심으로 제2차 6·10 만세 운동을 계획하였다.

협성실업학교에 재학 중이던 손병석은 각 학교의 간부 10여 명과 피어선기념성경학원 기숙사에 모여서 격문 수만 매를 인쇄하고 시위를 준비하였다. 그러나 6월 16일 경찰에 발각되어 배재고등보통학교 김동진(金東鎭) 등 동지들이 검거되고, 손병석도 이어서 체포되었다. 손병석은 사건의 확대를 우려한 일제 당국이 서둘러 사건을 종료한 덕에 6월 30일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 협성실업학교에서는 4주간의 유기 정학을 당하였다. 손병석은 1927년 협성실업학교 중등과 3년을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상과에 입학하였다. 1932년 5월 26일 사망하였다.

[묘소]

손병석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손병석의 공적을 기려 2019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