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84
한자 鴻山川
영어공식명칭 Hongsanche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토정리|북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홍산천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홍산천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토정리|북촌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5.38㎢[유역 면적]
길이 3.8㎞[하천 연장]|4.64㎞[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토정리에서 발원하여 북촌리에서 금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명칭 유래]

홍산천(鴻山川)의 명칭은 조선 시대 홍산현(鴻山縣)과 연관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지방 지도인 「홍산현지도(鴻山縣地圖)」에는 홍산현의 동쪽에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물줄기가 그려져 있다. 「홍산현지도」에 그려진 남북 방향의 물줄기가 바로 홍산천이다. 과거 홍산현의 중심지였던 곳에는 현재 동헌(東軒)과 객사가 남아 있다. 홍산만덕교비(鴻山萬德橋碑)[충청남도 기념물]에는 “홍산객사 동쪽에 하천이 있지만 다리가 없어 무지개 모양의 다리를 놓았다”라고 적혀 있는데, 홍산만덕교비의 하천과 다리가 각각 홍산천만덕교이다. 1681년(숙종 7) 홍산천에 건설된 만덕교홍산천의 홍수로 인하여 수차례 피해를 입었다.

[자연환경]

홍산천의 발원지인 갈은내저수지는 농업용 저수지이며 총 저수량이 4만 4200㎥이고, 제방의 높이는 8m, 길이는 103m이다. 갈은내저수지의 배후 유역에는 높이 약 360m의 천덕산이 있다. 갈은내저수지 하류에서는 천덕산에서 이어지는 250m 내외의 능선과 태봉산홍산천의 유역 경계를 이룬다.

[현황]

홍산천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토정리 갈은내저수지에서 발원하여 북촌리에서 금천과 만나 금강으로 들어가는 금강의 제2지류이다.

홍산천의 하천 연장은 총 3.8㎞이고, 유로 연장은 4.64㎞이며, 유역 면적은 5.38㎢이다. 하천 제방은 총 7.32㎞가 건설되어 있으며, 제방 정비 완료 구간은 4.56㎞, 제방 필요 구간은 2.76㎞이다. 홍산천에는 총 9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고, 어도는 1개 설치되어 있다. 모두 2010년 1월 건축되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한국하천일람』 (환경부, 2020)
  • 국가어도정보시스템(https://www.fishway.go.kr)
  •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https://rawris.ekr.or.kr)
  • 두산백과(https://www.doopedia.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