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23
한자 氣候
영어공식명칭 Climat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정의]

부여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대기 현상의 종합적 평균 상태.

[개설]

부여군은 분지형 지형으로, 기후(氣候)는 하절기에는 기온이 높고 일교차가 크며, 금강의 영향으로 이슬이 많고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특성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2.5℃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21.7㎜이다. 3~5월의 봄은 평년 평균 기온 11.7℃, 강수량 233.7㎜, 평균 풍속 1.4㎧이며, 남서풍이 불 때는 따뜻하나 북동풍이 불 때는 싸늘한 날씨를 보인다. 6~8월의 여름은 평년 평균 기온 24.4℃, 강수량 737.6㎜, 평균 풍속 1.3㎧이다. 여름에 강수 집중률이 높은 이유는 여름철에 장마 전선이 한반도 위에 장기간 정체하여 비가 내리고, 또한 열대성 저기압도 대부분 여름철에 내습하기 때문이다. 9~11월의 가을에는 평년 평균 기온 13.8℃, 강수량 261.3㎜, 평균 풍속 1.1㎧이다. 12~2월의 겨울은 평년 평균 기온 -0.1℃, 강수량 93.8㎜, 평균 풍속 1.1㎧이다.

[기온]

부여 지역은 약 12.5℃로 온난한 기온이 관측된다. 월별 기온의 분포는 1월 기온이 -1.5℃로 가장 낮고, 8월이 25.9℃로 가장 높다. 연중 가장 따뜻한 달과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 차, 즉 기온의 연교차는 27.9℃이다.일 최고 기온과 일 최저 기온의 평균 기온 차, 즉 기온의 일교차는 11.5℃로 큰 일교차를 보인다. 부여 지방의 최고 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은 1~12월 모두 14시이며, 최저 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은 1~2월은 7시, 3월은 6시, 4~6월은 5시, 7~12월은 9시로 주로 나타난다. 따라서 여름철과 겨울철의 최고 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은 동일하고,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최저 기온이 나타나는 시각이 이르다. 1973년부터 2000년까지의 28년 평균값을 바탕으로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부여 지역의 최고 기온, 최저 기온, 평균 기온 변화를 보면, 최고 기온과 평균 기온은 0.5℃ 상승하였고, 최저 기온은 0.4℃ 상승하였다.

[강수]

부여 지역의 연강수량은 1,200~1,600㎜이며,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부여 지방의 강수량을 계절별로 보면, 봄에 연강수량의 17.8%, 여름에 연강수량의 54.9%, 가을에 연강수량의 19.8%, 겨울에 연강수량의 7.6%로 나타난다.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여름철 강수량이 가장 많은 일반적 특성을 보였다. 강수량이 가장 적은 때는 1월로 평균 2.1㎜ 정도이었다. 12~2월 겨울철 강수량은 평균 94㎜이었다. 6~8월 여름에는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이어지는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국지적 집중 호우로 인한 기상 재해도 발생하였다.1972년부터 2008년까지의 적설은 총 874.4㎝이며, 적설 일수는 총 137일이었다. 전반적인 강수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1973년부터 2002년 기준으로 연강수량 1312.8㎜에서 최근 1991~2020년 30년간 평균 1327㎜로 증가하였는데, 여름과 겨울 강수량이 증가하고 봄과 가을 강수량은 감소하였다.

[바람]

부여 지역의 바람은 한반도 전체가 겨울철에는 대륙에 고기압, 해양에 저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서고동저의 기압 배치가 되어 북서계절풍이 불고, 여름철에는 반대로 대륙에 저기압, 해양에 고기압이 발달하므로 남고북저의 기압 배치가 되어 남동 내지 남서계절풍이 많이 부는 특성을 그대로 지닌다. 12~2월에는 북서풍 계열이 우세하고 남풍 계열이 약하며, 6~8월에는 남풍 계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부여 지역의 전체 풍향을 보면, 북서풍이 가장 우세하며, 다음으로 남서풍과 북풍이 우세하다.풍속은 4월의 풍속이 1.5㎧로 최고이며, 10월의 풍속이 1.0㎧로 최저이다. 평균 풍속의 최댓값을 최대 풍속이라고 하는데, 월별 평균 최대 풍속은 봄이 가장 높다. 4월에 8.2㎧[남서풍]이고, 다음은 8월의 7.7㎧[남남서풍], 5월의 7.6㎧[서남서풍]이다.

[안개]

부여 지역은 금강의 영향으로 이슬이 많고 안개가 많이 발생한다.1973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안개일수는 61.8일이다. 가을철 9~11월에 전체 안개 발생의 47%가 집중하며, 봄철 3~5월에 전체 안개 발생의 4%로 가장 적게 나타난다. 또한, 안개의 1회 발생 시 평균 지속 시간은 약 4시간이다.

[습도]

부여 지역의 상대 습도는 71%이다. 1973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평균 상대 습도는 75.5%였는데,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평균 상대 습도는 71.5%로 약 4%의 감소 추세를 보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